미국증시관련해서 연준의 비둘기파적 발언, 매파적 발언 등 다양한 뉴스기사들을 접하실 수 있으실 텐데요. 뉴스에서 새들이 등장해서 무슨 말인가 싶으실 텐데 오늘은 그 궁금증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비둘기파와 매파의 차이
비둘기파와 매파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비둘기를 생각했을 때 우리나라에서는 평화의 상징으로 알고 있기에 온순함이 먼저 떠오르실 텐데요. 반면에 매는 전투적인 느낌이 납니다.
비둘기 파는 느낌 그대로 온건파라고 생각하시면 되고, 매파는 강경파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FOMC에는 여러 명의 연준 위원들이 참석해서 통화정책을 결정하게 되는데, 경기가 생각보다 좋으니 금리를 올리자는 의견을 제시하는 위원도 있을 거고 경기가 여전히 부진하니 금리를 내리자는 의견을 제시하는 위원도 있습니다.
경기가 좋고 물가가 상승하니 금리를 올려서 긴축을 하자는 세력을 매파라고 지칭하며, 반대로 경기부양을 위해서 금리를 내리자고 하는 세력을 비둘기 파라고 하는데요. 경기에 맞서는 세력을 매파라고 생각하시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온건한 통화정책을 펼치는 세력을 비둘기 파라고 생각하ㅣ면 됩니다.
매파가 옳다 비둘기파가 옳다 식으로는 단정 짓고 접근할 수는 없고, 경제상황에 따라 항상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인데요. 실제적으로 코로나 19가 발생하고 글로벌 경제가 큰 충격을 받았을 때, 매파성향을 가진 미국의 연준위원들은 비둘기파가 돼서 금리를 0%까지 낮추는데 적극적을 ㅗ찬성했던 경우도 있었습니다.
매파가 비둘기파가 된건데, 반대로 2007년 글로벌 경기가 너무 좋아서 물가가 급등하자 비둘기파 성향을 가지고 있던 연준위원들도 금리인상에 적극 찬성하기도 했었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RahWF
에코백스 디봇 T10 옴니 로봇청소기 DBX53
COUPANG
www.coupang.com
물론 경기판단이 애매한 구간에서는 매파와 비둘기파의 의견이 확실히 나눠지기 때문에 적론을 펼치기도 합니다.
매파든 비둘기파든 정답은 없습니다. 항상 상황에 맞는 ㄴ의사결정이 필요하기에, 경기가 과열되어서 물가가 너무 치솟으면 금리를 인상해서 경기과열을 막아야 하고, 경기가 넘 ㅜ위축되어서 침체에 빠지면 적극적인 금리인하를 통해 경기를 부양시켜야 합니다.
투자자 여러분들은 매파와 비둘기 파란 용어에 큰 의미를 두지는 마시고, 왜 금리가 올랐는지, 왜 금리가 내리는지, 그 이유를 파악하시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지식창고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장에서 블록딜이란 무슨 뜻이며, 블록딜이 미치는 영향, 결국 악재인걸까요? (악재인 이유정리) (0) | 2023.03.13 |
---|---|
주식용어 - 턴어라운드란? 턴어라운드 기업에 주목해야하는 이유, 대표적인 내용 요약 (0) | 2023.03.10 |
FOMC 흐름을 통해 알아도 주식 예측이 가능한 이유, FOMC 확인해야 하는 이유, FOMC 회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쉽게 이해하기 (0) | 2023.03.07 |
[주린이 주식공부] 주식의 이격도 개념 및 지표를 활용한 투자 방법 매매전략 (2) | 2023.03.06 |
[주린이의 주식공부] 기업의 거래량 분석과 보는법, 상승신호, 하락신호, 주가상승과 거래량 상승의 관계 등등 알아보자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