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하다 보면 3자 배정 유상증자란 공시가 종종 보이곤 하는데요. 3자 배정 유상증자는 말 그대로 제3자인 특수관계인을 대상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자금조달 방식입니다. 오늘은 3자 배정 유상증자는 호재인지와 투자자가 공시 확인 후 확인 해야 할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OBoIj
1. 3자 배정 유상증자는 호재인가?
유상증자를 진행하는 방식은 3가지 있습니다. 주주배정방식, 일반공모방식, 3자 배정방식 이렇게 있는데, 주주배정, 일반공모방식은 유통주식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주가 악재로 판단되며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이 많은데요. 반대로 3자 배정방식은 호재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자 배정방식은 말 그대로 주주가 아닌 특수관계인이나 다른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방식이며, 3자 배정 유상증자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지분투자를 할 때 많이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3자 배정 유상증자는 1년간 보호예수가 되기 때문에 유통주식수가 증가하지 않아 긍정적으로 볼 수 있으며, 대기업의 투자라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서 주가의 호재로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2. 투자자가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 2가지
1. 증자방식 확인
2. 투자하는 발행기업 확인
유상증자 공시가 나왔을 때 투자자가 먼저 확인해야 할 내용은 증자방식입니다. 내용이 3자 배정 유상증자로 내용확인이 된다면 그다음에 발행대상이 누구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대기업인지, 사모펀드인지, 외국계기업인지 먼저 확인하시고, 누가 투자하든 간에 1년간 보호예수 기간을 거치기 때문에 1년간은 물량부담은 없습니다
다만 1년 후 발행 대상에 따라 주식시장에 물량이 풀릴 수 있다는 점을 잘 생각해 두시고 투자하셔야 하는데요. 사모펀드나 외국계기업은 단기투자인 경우가 많기에 보호예수 기간이 끝나면 수익을 내기 위해 가지고 있는 물량을 매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대기업의 투자인 경우 다른 방면으로 바라볼 수 있는데요. 3자 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해 지분의 일부를 확보하고 장기간 파트너십을 유지하려는 목적일 수도 있기에 1년 보호예수 기간 이후에도 매도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기업의 투자라는 상징과 자금조달 유통주식수 증가 제한 등으로 주가에는 긍적으로 보는 게 좋을 듯하네요.
3. 유상증자에 대한 투자자 입장에서의 판단기준
주식투자에서는 정답은 없습니다. 같은 유상증자라고 해도 배정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악재가 될 수도, 호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유상증자에 겁먹지 마시고 공시내용을 잘 살펴보신 뒤 투자 결정을 내리는데 참고하셔서 성공적인 투자를 하실 수 있길 바라겠습니다.
3자 배정유상증자는 호재인가와 투자자가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유상증자 공시에 대해서 제일 먼저 증자방식을 확인해보시고 투자결정하는데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또한 이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지식창고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주식공부] 신주인수권부 사채와 전환사채의 차이점, 그래서 호재야? 악재야? 주가의 영향은? (0) | 2023.02.10 |
---|---|
[주린이의 주식공부] 주식에서의 전환사채는 호재일까 악재일까? 전환사채 개념정리 (0) | 2023.02.10 |
[주린이 주식공부] 유상증자 공시는 기업 주가에 어떤 영향을 줄까?? 투자자가 확인 해야 할 체크리스트 (0) | 2023.02.09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팽나무 촬영장소, 천연기념물 지정 예고 및 나무정보 (0) | 2022.08.25 |
2022년 상업적 사용 가능한 무료 일러스트 PPT 디자인 사이트 추천모음 정리 (링크포함) (0) | 2022.08.23 |
댓글